728x90
반응형

파파몬 도감/#물고기도감 18

#시아미즈 알지이터 (Crossocheilus oblongus)

시아미즈 알지이터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은 우기에 강이나 시내가 범람한 밀림지역입니다. 그리고 크기는 16cm까지 자라는 어종입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아이들은 3-4cm정도 크기가 대중적입니다. 먹이는 원래는 초식성이지만 곤충이나 동물성 먹이도 먹어 잡식성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붓이끼 #사슴뿔이끼 제거하면 떠오르는 시아미즈인데 거의 유일한 생물병기이기에 수조운영시에 꼭 필요한 열대어라고 생각합니다. (대형어 수조에는....XD) 그런데 시아미즈는 오해를 많이 받고 있는 열대어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비슷하게 생긴 요 두녀석 때문인데요.. 이녀석들은 어렸을 때는 이끼를 잘 먹는 척하다가 성어가 되면 이끼는 개뿔... 사료주기만을 기다리는 멍멍이가 되버립니다. 그래서 주의해야하는..

#인디언복어 (Dwarf puffer : 난쟁이복어, Abeni puffer : 피그미복어)

인디언복어는 인도 남서부의 말라바, 팜바 유역에서 서식하고 성체기준으로 2.5 - 3cm의 초소형 민물 복어입니다. 자연에서는 작은 수서곤충이나 소형 갑각류(새우), 달팽이와 같은 연체동물들을 먹이 삼아 생활하며, 최대 수명은 5년입니다. #특징 국내에는 알려진지 오래되진 않았지만, 성장 크기도 가장 작아 외국에서는 피그미복어라는 명칭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복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황녹색의 색깔이 몸전체를 감싸고 있으며, 불규직적인 원형 무늬가 있습니다. 조명의 각도에 따라서 녹색의 색상이 반짝이는 것이 신기한 복어입니다. 또한 수초항에 달팽이가 창궐했을 때 생물병기로도 쓰이나 다른 열대어와 합사의 경우는 비추천 합니다. (다른 열대어들을 쪼거나 괴롭히는데 이빨이 있어 위험하기도 합니다.) #사육방법 비교..

#구피 (Poecilia reticulata)

'물생활의 시작은 구피로 시작해서 구피로 끝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금붕어를 대체하는 가정 내 수조의 주인공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지만 특히 주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징: 구피는 한세대가 길지 않고 적은 노력만으로도 나만의 구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특히 수조가 작고 좁은 수조에서도 잘 살고 번식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적습니다. 구피는 고정구피와 막구피로 나뉩니다. 고정 구피는 형질이 고정된 구피를 뜻하는데 본인이 원하는 구피들을 골라 근친교배를 계속하여 부모가 가진 형질을 자손에게 그대로 유전되도록 고정시킨 종류입니다. 막구피는 개로 비유하자면 똥개에 비유하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여러 세대에 걸쳐 교잡이 일어났기 때문에 부모의 형질이 치어에게 그대로 전달되..

# 베타 (Betta)

베타라는 이름은 말레이시아 언어로 'ikan betah'에서 유래된 것으로 'betah' 참다, 견디다라는 의미와 'ikan' 물고기라는 의미가 합쳐져서 '잘 견디는 물고기' 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대표적인세 60여종이 대중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번식방법에 따라 거품둥지를 짓는 버블네스트종과 입에 알을 물고 보호하는 마우스 브리더 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 유통되는 베타는 대부분 개량종이며 베타의 개량은 태국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이유는 투기용으로 싸움을 붙인 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 베타의 또 다른 이름은 투어가 있는데 수컷 베타는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개체를 위협합니다. 몸길이는 5cm내외이며, 물생활을 막 시작하신 분들이 아름다운 지느러미에 유혹되어 많이..

#카디날테트라 (Paracheirodon axelrodi)

카디날테트라 or 카디널테르라는 카라신과로 남미의 오리노코 강과 네그로 강 상류에서 서식합니다. 인기있는 것에 비해 양식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서 현재는 야생에서 많은 양을 채집하여 유통합니다. #특징 카디날 테트라의 특징으로는 붉은 색의 배쪽 부분과 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무지개빛깔의 파란색 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란색선은 피하층 세포가 빛의 굴절에 반응하여 빛의 각도에 따라 화려함을 더 합니다. #먹이 주로 육식을 하고 있으나 수중식물, 뿌리 및 잎등 옆쪽에 사는 모기 유충이나 물벼룩과 같은 작은 갑각류등을 잡아먹고 삽니다. (벌레의 애벌레, 곤충의 알등등) #번식 야생에서는 서식지 상류층까지 헤엄쳐 올라가 열대 우림 나무에 의해 음영이 생겨 햇빛이 거의 닿지 않을 때 산란을 한다고 합니다. #..

#토종물고기편/빙어 (Hypomesus nipponensis)

오늘은 다섯 번째 이야기로 초고추장과 튀김옷을 입으면 너무 맛있는...(미안) 빙어를 소개하려 합니다. #서식지 빙어는 바다빙어목 바다빙어과에 속하는 물고기입니다. 고서에서는 오이 맛이 난다 하여 오이 '과瓜'자를 써서 과어라고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전국적으로 저수지나 댐에 분포하지만 원래부터 그랬던 것은 아녔다고 합니다. 자연적으로는 동해 북부로 흐르는 하천들에 분포하였고, 1926년 조선총독부 산하 수산시험장에서 함경남도 용흥강에 서식하던 빙어의 알을 채집하여 전국의 주요 저수지들에 나누어 부화시켰다고 합니다. 그 결과 현재는 전국적으로 대형 댐호 및 저수지들에 많이 분포하며 서남해로 흐르는 하천에도 서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찬물을 좋아하지만 30도쯤 되는 물에서도 적응을 잘하고 순수한 민물..

#토종물고기편/각시붕어 (Korean bitterling/Rhodeus uykii)

토종물고기 네번째 편은 각시붕어로 이야기하려 해봅니다. 잉어과에 속하는 한국고유종이고, 낙동강 하류와 남부지방 하천에 분포해있습니다. 납작하고 몸의 세로길이가 길며, 물살이 약하고 수초가 우거진 하천 가장자리의 진흙 바닥에 서식합니다. 성장하는 최대길이는 3.4-5cm이며, 동작이 재빠르지 못해 주변환경에 움직임이 느껴지면 물풀이나 바위 뒤로 숨습니다. 먹이는 미세한 부착조류와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데, 사료순치도 가능합니다. 산란시기는 4월 - 6월 중순까지이며 민물조개의 출수공에 알을 낳아 치어로 자랄 때까지 조개의 껍데기 안에서 보호받으며 자라게 됩니다. 산란기에는 지느러미의 황색과 선홍색의 띠가 선명해집니다. # 사육환경 온도 : 20-24도 수질 : 약산성-중성 성장크기 : 3.4-5cm 사육난..

#토종물고기편/버들붕어 (Macropodus ocellatus)

오늘은 토종물고기 세번째편 강이나 하천의 물이 정체된 곳, 저지대, 농토의 수로등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가는 '버들붕어'를 이야기 하려합니다. 일본에서 서식하는 버들붕어(초센부나)는 대부분 자생종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수탈해간 버들붕어가 유입된 것 입니다. 버들붕어라는 이름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버드나무 잎파리처럼 생기고, 붕어처럼 흔한 물고기라서 버들붕어라고 불리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Gills : 아가미 Gill rakers : 아가미 갈퀴 Labyrinth organ : 레버린스 *Labyrinth 단어는 '미로'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버들붕어는 레버린스(Labyrinth)라는 기관이 있는데 이는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고 호흡을 ..

#토종물고기편/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그 두 번째 이야기는 압록강에서 섬진강까지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여러 하천에 있는 '중고기'입니다. 중고기는 저서성 어종으로 2 급수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물살이 느린 강에서 살면서 물의 깊이가 1m 안팎인 곳의 바닥 가까이서 헤엄치는 것을 좋아하는 어종입니다. (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인천강, 영산강, 섬진강에 서식) 선호하는 바닥재는 진흙이 섞인 모래나 자갈이 깔려 있고, 수초가 우겨져 숨을 곳이 많은 곳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예민하여 주변 환경에서 뭔가 느껴지면 빠르게 도망갑니다. 먹이는 수서곤충이나 실지렁이, 생이새우와 같은 갑각류를 먹고살며 각시붕어와 납자루류와 같이 산란관을 조개에 밀어 넣어 산란을 합니다. 사육 시에 번식을 원하시면 민물조개와 함께 키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토종물고기편/갈겨니 (Niopponocypris temminckii)

이번에는 토종 물고기 편을 해보려 합니다. 그 첫 번째 이야기는 계곡이나 하천에 많이 살고 있는 '갈겨니' 이야기입니다. 갈겨니는 동아시아(대한민국, 일본, 중국)의 개천에 서식하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갈견'이라고도 불리며, 눈이 검다 하여 '눈 검쟁이'라고도 불립니다. 흡사 같은 잉어과라 그런지 '시아 미즈 알지이터'와 비슷해 보입니다. 몸길이는 15-20cm이고 눈과 머리가 크고 등이 푸른 물고기로 피라미와 아주 흡사하나 더 크게 자랍니다. 산란기는 날이 점점 따뜻해지는 5월 하순부터 더워지기 전 7월까지인데 이때 선홍색의 혼인색을 띱니다. 먹이는 소금쟁이나 물땡땡이 같은 소형 수서곤충 또는 물에 빠진 파리나 모기, 작은 물고기(쉬리, 돌고기) 동물성 플랑크톤도 잡아먹습니다. 수조에 ..

#플래티(Xiphophorus maculatus)의 종류 알아보기

플래티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플래티의 종류 플래티의 종류가 이렇게나 다양한지 몰랐네요 항상 조사하면서 많은 것을 알아가는게 참으로 즐겁네요~ 플래티란~? # 플래티 (Xiphophorus maculatus) 구피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플래티- 난이도도 쉬워 많이 사육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 및 남부 멕시코에 서식하고 있고, 가까운 친척은 ‘소드테일’이 있고, 먼 친척으로는 ‘ copipaper.tistory.com 첫발에 그림으로 봤으니 이제 이미지로 렛츠고!

#제브라 다니오 (Danio rerio)

원산지는 인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대 길이와 몸무게는 각각 6.6cm, 5g이다 느리게 흐르거나 고여있는 물에 살고 있으며, 특히 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특징 잉어과이긴 하지만 대부분 환경으로 인해 입주변에 수염이 녹아서 안보이는 경우가 많다. 값도 저렴하여 초기 물잡이를 위해 사육되는 경우가 많으나, 채색이나 무늬가 아름다워 계속 키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난생이며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으며 수질에 대한 적응력이 다른 열대어들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 #먹이 먹이는 크게 가리는 것이 없으며, 지렁이나, 작은 갑각류, 수서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야채도 잘먹는데, 삶아서 연하게 만들어 주면 잘 먹습니다. #서식환경 수질은 (Ph 6.5-7.2)가 적절하며 온도는 18-26도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