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면역력 6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정상체온에서 벗어났을 때 우리는 발열이 일어난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copipaper.tistory.com오늘은 이전 감기 V편 다음으로 어른들보다 아이들이 자주 아픈 이유에 대해서 나눠보려고 합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질병에 잘 걸리고 통계적으로도 나와있는 부분입니다. 1. 아이는 어른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WHO에서 어른과 아이의 다른 차이를 발표한 것에 따르면 제목이 '소아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이 말은 즉슨 소아는 어른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성장단계에 따른 변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부모의 몸을 기준으로 소아를 평가한다면 굉장히..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독감 IV편

우리를 놀라게 할 것은 똑같은 바이러스에 노출된다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여러 연구에서 명확하게 보여줬음에도 불구하고 독감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다는 확고부동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10% 혹은 그 이하만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 10%의 경우 몸은 축적된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그 바이러스를 이용합니다. 나머지 사람들의 경우, 몸은 그런 용매의 도움 없이 똑같은 일을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지만 그들의 몸이 축적된 독소를 제거하는 데 가장 적합한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기 때문에 여전히 계절성 독감에 걸리고 있습니다. 이 것은 또한 계절성 독감 바이러스가 철이 바뀔 때마다 돌연..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세균 II편

오늘은 이전 세균 I 편에 이어 II 편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세균 이론의 결함 사실 염증성 질환이나 감염성 질환은 세균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몸에서 파괴와 죽음의 힘이 필요한 취약한 부위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디에 방점을 두느냐에 관한 매우 미묘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세균이 질병의 진행 과정에 관여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파스퇴르의 가정처럼 세균은 우리에게 해를 입힐 의도를 가진 것도 아니고 감염성 질병의 실질적인 원인 제공자도 아닙니다. 세균은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독소와 마주쳤을 때에만 공격적으로 변합니다. 세균은 적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 몸은 세균과 싸우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세균은 우리 몸을 상대로 싸움을 걸지 않습니다. 실제로 우리 몸에는 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세균 I편

#세균 이론 19세기 프랑스의 과학자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만들어진 세균 이론이 근거로 삼는 이러한 가정은 아직까지도 현대의학과 예방의학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파스퇴르는 질병의 원인이 세균이라고 주장한 최초의 과학자였습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세균 즉 병원체는 자신들이 생존하기 위해 우리 몸에 침입한다 였습니다. 그는 처음엔 감염성 질병이나 염증성 질환이 우리 몸에 세균이 퍼져서 나타나는 직접적인 결과라 믿었지만, 죽기 전에 자신의 이론을 거둬들였습니다. 현미경으로 질병의 숙주 조직을 연구한 루이 파스퇴르와 로베르트 코흐 그리고 고위 동료들은 많은 숙주 조직이 죽어갈 때 세균 수가 급증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세균이 건강한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함으로써 몸에 질병이 나타..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질병편

우리는 백신이 어떻게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질병의 원인이 되는지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백신과 면역체계의 관점에서 '질병'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아야겠습니다. 홍역이나 수두, 성홍열과 같은 몇 가지 질병은 한번 앓고 나면 평생 면역이 남는 질병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습니다. 홍역이나 성홍열이 재발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번 질병을 앓고 나면 효과가 나타나는 놀라운 천연 방어력, 천부적인 면역력을 자연이 인간의 몸에 부여했기 때문입니다. 현대 의학은 면역 체계의 비밀을 풀어냈으며, 19세기에 만들어진 의학 개념은 부분적으로 고대 그리스 의사인 히포크라테스의 의학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히포크라테스에 의하면 질병은 몸속 주요 기관과 혈액순환으로..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면역력과 백신편

#정말 무엇이 우리의 생명을 구하는 것일까? 면역체계가 몸의 기능을 회복시킨 상황이라면 몸은 전보다 더 건강하고 강해져 있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상태를 후천성 면역이 생긴 것 이라고 말하는데 이를 특정 종류의 세균에 대한 면역력으로 연관 지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것은 몸이 더 건강해지고 독성에 대해 강해져서 몸을 청소하고 치유하기 위해 더 이상 세균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어졌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몸의 구조활동을 시작했던 해당 세균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 것으로 주장 하지만, 사실은 건강이 좋아진 상태이고 몸이 다시 아픈 상태로 떨어지지 않도록 활력이 강화된 상태일 뿐입니다. 백신 의학은 질병에 걸리지 않고도 감염성 질병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영구적인 면역력이 생기게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