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열대어도감 10

#시아미즈 알지이터 (Crossocheilus oblongus)

시아미즈 알지이터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은 우기에 강이나 시내가 범람한 밀림지역입니다. 그리고 크기는 16cm까지 자라는 어종입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아이들은 3-4cm정도 크기가 대중적입니다. 먹이는 원래는 초식성이지만 곤충이나 동물성 먹이도 먹어 잡식성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붓이끼 #사슴뿔이끼 제거하면 떠오르는 시아미즈인데 거의 유일한 생물병기이기에 수조운영시에 꼭 필요한 열대어라고 생각합니다. (대형어 수조에는....XD) 그런데 시아미즈는 오해를 많이 받고 있는 열대어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비슷하게 생긴 요 두녀석 때문인데요.. 이녀석들은 어렸을 때는 이끼를 잘 먹는 척하다가 성어가 되면 이끼는 개뿔... 사료주기만을 기다리는 멍멍이가 되버립니다. 그래서 주의해야하는..

#구피 (Poecilia reticulata)

'물생활의 시작은 구피로 시작해서 구피로 끝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금붕어를 대체하는 가정 내 수조의 주인공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지만 특히 주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징: 구피는 한세대가 길지 않고 적은 노력만으로도 나만의 구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특히 수조가 작고 좁은 수조에서도 잘 살고 번식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적습니다. 구피는 고정구피와 막구피로 나뉩니다. 고정 구피는 형질이 고정된 구피를 뜻하는데 본인이 원하는 구피들을 골라 근친교배를 계속하여 부모가 가진 형질을 자손에게 그대로 유전되도록 고정시킨 종류입니다. 막구피는 개로 비유하자면 똥개에 비유하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여러 세대에 걸쳐 교잡이 일어났기 때문에 부모의 형질이 치어에게 그대로 전달되..

# 베타 (Betta)

베타라는 이름은 말레이시아 언어로 'ikan betah'에서 유래된 것으로 'betah' 참다, 견디다라는 의미와 'ikan' 물고기라는 의미가 합쳐져서 '잘 견디는 물고기' 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대표적인세 60여종이 대중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번식방법에 따라 거품둥지를 짓는 버블네스트종과 입에 알을 물고 보호하는 마우스 브리더 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 유통되는 베타는 대부분 개량종이며 베타의 개량은 태국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이유는 투기용으로 싸움을 붙인 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 베타의 또 다른 이름은 투어가 있는데 수컷 베타는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개체를 위협합니다. 몸길이는 5cm내외이며, 물생활을 막 시작하신 분들이 아름다운 지느러미에 유혹되어 많이..

#카디날테트라 (Paracheirodon axelrodi)

카디날테트라 or 카디널테르라는 카라신과로 남미의 오리노코 강과 네그로 강 상류에서 서식합니다. 인기있는 것에 비해 양식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서 현재는 야생에서 많은 양을 채집하여 유통합니다. #특징 카디날 테트라의 특징으로는 붉은 색의 배쪽 부분과 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무지개빛깔의 파란색 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란색선은 피하층 세포가 빛의 굴절에 반응하여 빛의 각도에 따라 화려함을 더 합니다. #먹이 주로 육식을 하고 있으나 수중식물, 뿌리 및 잎등 옆쪽에 사는 모기 유충이나 물벼룩과 같은 작은 갑각류등을 잡아먹고 삽니다. (벌레의 애벌레, 곤충의 알등등) #번식 야생에서는 서식지 상류층까지 헤엄쳐 올라가 열대 우림 나무에 의해 음영이 생겨 햇빛이 거의 닿지 않을 때 산란을 한다고 합니다. #..

#플래티(Xiphophorus maculatus)의 종류 알아보기

플래티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플래티의 종류 플래티의 종류가 이렇게나 다양한지 몰랐네요 항상 조사하면서 많은 것을 알아가는게 참으로 즐겁네요~ 플래티란~? # 플래티 (Xiphophorus maculatus) 구피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플래티- 난이도도 쉬워 많이 사육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 및 남부 멕시코에 서식하고 있고, 가까운 친척은 ‘소드테일’이 있고, 먼 친척으로는 ‘ copipaper.tistory.com 첫발에 그림으로 봤으니 이제 이미지로 렛츠고!

#제브라 다니오 (Danio rerio)

원산지는 인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대 길이와 몸무게는 각각 6.6cm, 5g이다 느리게 흐르거나 고여있는 물에 살고 있으며, 특히 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특징 잉어과이긴 하지만 대부분 환경으로 인해 입주변에 수염이 녹아서 안보이는 경우가 많다. 값도 저렴하여 초기 물잡이를 위해 사육되는 경우가 많으나, 채색이나 무늬가 아름다워 계속 키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난생이며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으며 수질에 대한 적응력이 다른 열대어들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 #먹이 먹이는 크게 가리는 것이 없으며, 지렁이나, 작은 갑각류, 수서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야채도 잘먹는데, 삶아서 연하게 만들어 주면 잘 먹습니다. #서식환경 수질은 (Ph 6.5-7.2)가 적절하며 온도는 18-26도로 ..

#몰리 (Poecilia sphenops)

몰리의 서식지는 멕시코로 담수는 물론 해안가나 바다에서도 서식한다고 합니다. 이 말은 즉슨 소금에서 엄청난 내성을 가지고 있단 말이겠지요? 몰리의 친척으로는 구피와 플래티가 있으며 그 외에는 앤들러스와 소드테일도 해당됩니다. 서식환경: 친척을 넘어서 형제 수준인 구피와 약간 먼 친척 플래티와 동일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번식방법등도 동일하나 치어의 크기가 다른 종류보다 크기 때문에 치어가 잘 잡아먹히지 않는다고 합니다. 플래티랑 같이 키우다보면 몰래티라는 혼종이 나온다는 설이 있지만, 이론적으로 교잡은 불가능 합니다. 또한 몰리와 구피의 혼종은 가능하다고 하나 몰리는 염색체수가 48개, 구피는 염색체수가 46개, 즉, 잡종은 나올리가 없다는 말이죠. 하지만 염색체수가 많은 몰리 암컷으로 구피는 막 성체가 ..

#플래티 (Xiphophorus maculatus)

구피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플래티- 난이도도 쉬워 많이 사육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 및 남부 멕시코에 서식하고 있고, 가까운 친척은 ‘소드테일’이 있고, 먼 친척으로는 ‘구피와 몰리’가 있습니다. 특징: 구피에 비해서 예민하고 거친편이어서 물맞댐 할 경우 점프해서 탈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계속 지켜보지않으면 멸치가 되어 바닥에서 발견하는 불상사가 일어날 것 입니다. 수질오염의 경우 구피보다 잘 견디는 편이지만 스트레스는 쉽게 받는 편이지만 적응을 잘 하면 구피보다 부지런하고 건강하게 잘 지내는 편입니다. 서식환경: pH는 6.5-8.0정도의 중성과 약알칼리성 물에서 22-27도 정도의 환경에서 폭넓게 잘 살아갑니다. 타 물고기와의 합사는 원만하나 수컷 플래티는 개체에 따라서 다른 플..

#송사리 (Oryzias latipes)

송사리는 동갈치목 송사리과에 속하는 민물 어류의 일종이며, 가까운 친척으로는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바다송사리 (Oryzias melastigma) 등이 있습니다. 서식지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그리고 베트남과 같은 아시아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수심이 얕고 물이 잔잔한 연못과 농수로 저수지와 같은 민물 지역에서 무리를 지으며 살아갑니다. 특히 환경의 온도나 수질 염분농도의 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해 홍수나 태풍으로 인해 바다에 인접한 기수 지역까지 쓸려나간 송사리 무리가 살아 남기도 합니다. 국내에는 송사리 (Oryzias latipes)와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두 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송사리는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며, 대륙송사리는 서부와 중부에서 발견되..

#엔젤피쉬 (Freshwater angelfish)

엔젤피쉬는 아마존 강과 그 지류에 살고 있습니다. 독특한 생김새와 우아한 유영때문에 사육을 하기 시작한 역사가 아주 길었으나, 그 역사에 비해서 개량이 많이 이루어 지지는 않은 종입니다. #먹이 건조사료도 잘 먹지만 영양상의 문제를 감안하면 실지렁이나 장구벌레(냉짱)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생상의 문제가 있고 계절에 따라 수급이 일정치 않은 실지렁이보다는 장구벌레를 많은 브리더들이 선호합니다. 그리고 은근히 부드러운 수초를 잘 뜯어먹기도 합니다. (키우시거나 키우셨던 분들은 잘 알고 있음) 디스커스에게 많이 공급하는 햄벅은 엔젤피쉬에게 잘 맞지 않으며, 햄벅을 공급하는 주된 이유는 디스커스를 비만으로 만들어 체형을 더 둥글게 만들기 위함이지 영양상으로 뛰어나게 좋거나 하진 않습니다. #번식 알텀 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