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신의위험성 4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백신 IV편

#우리는 자발적으로 감염시킨다? 2006년, 듀크 대학교 유전학센터, 버지니아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그리고 미국 국립유전체자원센터의 과학자들이 모인 연구팀은 총 57명의 자원자들과 함께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코를 통해 감기 바이러스, 독감 바이러스 혹은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이었습니다. 28명의 자원자는 이후 독감이나 감기 증상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몸에 있는 2만 개 이상의 유전자 중 어느 것이라도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로 변화가 생기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질병을 앓게 된 28명의 실험 참가자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과 연관된 반응으로 대략 30개의 유전자가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외부에서 유입..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백신 III편

#백신은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세균은 그들의 지원 없이는 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독소(항원)를 생산합니다. *형질세포는 이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적절한 항체를 만들어 치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B세포, 림프구, 대식세포 그리고 항체가 모두 독소의 중화와 제거를 포함한 복잡한 치유 과정에 관여하게 됩니다. (*형질세포: 항원과 T세포의 자극에 의해 대량의 항체를 분비하도록 분화된 B세포) 면역 체계는 목표물에 최적화된 무기를 장착하고 몸속에 침입한 적들을 파괴하는 전쟁용 기계가 아닌 오히려 매우 정교하게 설계된 치유 체계로서 그들의 유일한 목적은 균형 잡히고 조화로운 몸 상태를 되찾게 해주기 위해 존재인 것입니다. 우리는 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백신 II편

#백신은 면역력을 억제한다? 질병의 양상을 다룬 한 신중한 연구에서는 82명의 건강한 젖먹이 아기들이 백신 접종을 받기 전과 후를 관찰한 결과를 1988년 소아전문 학술지에 발표했습니다. 이스라엘에서 수행된 이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동일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혼합백신인 DTaP를 접종받기 30일 전과 접종받은 30일 후까지 급성 질환 발병 빈도를 비교했습니다. 백신을 접종받은 3일은 백신의 독성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어린이들에게 종종 발열이 나타나는 기간이기 때문에 비교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연구원들에 의하면 어린이들이 백신 접종을 받기 전의 건강한 기간에 비해 백신 접종을 받고 난 이후 한 달 동안 발열이나 설사, 기침을 하는 빈도가 매우 빠르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백신..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예방접종 IV편

의료 기록은 숨겨진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통계자료를 어떻게 왜곡했는지에 대한 예로 가득합니다. 그런 왜곡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가 사건의 전모를 감추는 것 입니다. 전후 관계를 무시하고 다수의 의료 통계를 참고하면 감염성 질병에 대한 철저히 왜곡된 시각을 가질수도 있습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의 두 연구원에 의해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에 실려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미국의 홍역 백신을 지지하며, 1963년까지 8000만명에게 백신을 접종한 결과, 그 이전에 50만건에 이르던 홍역 발병 건수가 1975년에는 3만 5000건으로 감소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이 만약 1963년 이전의 홍역 발병 건수를 말하는 것이라면 그들이 주장하는 수치에는 아무런 오류가 없습니다. 19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