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44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마스크편

우리는 코로나 사태 초기 때 마스크를 사기 위해 온 동네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사러 다니기 바빴으나 지금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수년 전부터 미세먼지에 대한 대중들의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데다 코로나 예방수칙에 마스크 사용을 포함하면서 새로 생긴 문화처럼 느껴졌습니다.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나 세계 보건기구(WHO)에서도 코로나19 사태 초기에는 건강한 사람에게 마스크 착용을 권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개인이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관리가 전혀되지 않기에 권하지 않았고, 마스크를 착용한다하여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도 없으며, 여과율이 높은 마스크의 착용으로 여러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는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을까요? 특히 KF..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정상체온에서 벗어났을 때 우리는 발열이 일어난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잘못된 지식이 있습니다. 우리의 체온은 36.5도가 아닌 36 - 37.5도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체온은 무슨활동을 하는지 환경이 어떤지 낮과 밤인지 계절에 따라 몸에서는 기준 온도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운동이나 아이들이 뛰어다니면 40도까지 오르기도 하니 36.5도보다 높다 하여 발열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발열의 기준은 : 귀체온계로 37.5도 이상일 때 : 옷을 잘 입었으나 몸이 갑자기 으스스하고 추울 때 : 식욕이 떨어질 때 : 이전보다 움직임이 힘들 때 2. 더위와 추위 더위는 내가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V편

이제 환절기가 시작했습니다. 흔히 말하는 감기의 계절이 찾아왔다고 말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열이 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처법에 대해서 나누고자 합니다. 1. 감기에 걸리면 우리 몸에는 어떠한 반응이 일어날까? : 바이러스가 낮은 온도와 건조함으로 증식을 시작하게 되면 우리 몸은 그에 대한 반응을 시작하게 됩니다. 첫 번째로는 #기침과 콧물로 밀어내려고 노력을 합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바이러스가 계속 증식하면 두 번째로 사용하는 방법은 호흡기에 체온을 올려 증식을 억제하게 됩니다. 호흡기의 체온이 올라갔다는 것은 호흡기 혈관이 확장되고 면역세포의 이동이 활발해진다는 것입니다. 단, 단점은 체온을 올리기 위해 몸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치고 힘든 상태가 됩니다. 이때 우리의 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편#감기 의 정의는? 우리는 살면서 가장 많이 겪는 감기는 통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이고 포괄적인 표현이 감기인 것이다. 고로 감기에 걸린 환자도 의사도 정확한 정의를 내리긴 어렵습니다. 그렇copipaper.tistory.com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편이전 편에 이어 감기에 대해 나눠보겠습니다. 상기도에 온도와 습도가 떨어졌을 때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면서 발생되는 불편한 증상을 '감기'라고 우리는 생각합니다. 감기를 일으키copipaper.tistory.com 이전에 말했던 것처럼 감기와 관련된 약들은 대증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치료의 목적을 가지고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 궁금증을 가지고 이 이야기를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편

이전 편에 이어 감기에 대해 나눠보겠습니다. 상기도에 온도와 습도가 떨어졌을 때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면서 발생되는 불편한 증상을 '감기'라고 우리는 생각합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2003년 'Lancet'에 발표된 ‘Viral cause of the common cold' 논문에 따르면 이렇습니다. 리노(Rinoviruses) 30-50% 코로나(Coronaviruses) 10-15% 인플루엔자(influenza viruses) 5-15% 세포융합 (Respiratory syncytial virus) 5% 파라인플루엔자 (Parainfluenza viruses) 5% 아데노 (Adenoviruses) 5% ↓ 엔테로 (Enteroviruses) 5% ↓ Unknown 20-30%..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편

#감기 의 정의는? 우리는 살면서 가장 많이 겪는 감기는 통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이고 포괄적인 표현이 감기인 것이다. 고로 감기에 걸린 환자도 의사도 정확한 정의를 내리긴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감기의 정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산소를 들이마시고 뱉어내는 목보다 위인 #상기도 에서 발생되는 #콧물 #기침 #열 증상을 감기로 인지하고 많은 사람들이 병원을 찾아갑니다. #감기 란 무엇인가? 호흡을 통해서 산소만 들어오면 좋겠지만 그 외에도 먼지, 바이러스, 미생물등이 들어오는 것이다. 이때 코와 목에 온도와 습도가 맞춰지면 집을 짓고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우리 몸은 신기하게도 이런 바이러스의 번식을 막기위해 면역활동을 시작합니다. *습도가 낮아 건조할 경우 콧물은 코의 습도를 높이고 배출함으로써 바..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거짓말편

우리는 살면서 거짓말을 안 해본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물론 좋거나 나쁘거나 상관없이 말이죠. 아이나 어른이 거짓말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본인에게 불리한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거짓말을 합니다. 자꾸 거짓말하면 나쁜 거야! 또 그렇게 행동하면 더 크게 혼난다! 라고 협박하고 위협을 하는 것이 과연 거짓말을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일까요? ㅔ강한 압박은 혼을 내었던 감시자가 있을 때에만 효과가 있지만 협박과 위협이 무서워서 지시에 복종하는 것 일뿐 진심으로 하는 행동이 아닙니다.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사랑받고 싶은 마음입니다. 충분하게 관심을 받지 못하면 아이는 부모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거짓말의 내용이 나쁠지라도 점점 그 크기를 키워갑니다. 진실이 아닐지라도 지어낸 이야기를 했을 때..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I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I편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copipaper.tistory.com 오늘은 이전편에 이어서 어른과 아이 III편 '계절의변화'에 대해서 이어가보려 합니다. 1. 계절 경험이 적은 아이들 아이들은 사계절을 엄마 뱃속에서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나옵니다. 아이들은 태어나서 첫돌까지는 걷지못하여 바깥활동을 하지않기도하며 우리나라 문화적으로 돌전에는 밖에 데리고 나가지 않아 계절에 대한 경험은 돌 이후 걷기 시작할 때부터 본격적으로 바깥활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아이들은 어린이집이나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정상체온에서 벗어났을 때 우리copipaper.tistory.com이전 편에 이어 오늘은 아이들의 면역력:항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합니다. 1. 경험이 적은 아이들 면역 경험과 환경(날씨)변화를 나눠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면역 경험에 대해 시작해볼께요~ @면역경험 (질병의 경험) : 우리 몸에서 한번 병을 일으킨 바이러스들이 다시 병을 일으키려할 때 몸에 기억되어 있는 세포들이 동일한 항체를 만들어 쉽게 이겨내게 됩니다. 즉, 질병에 걸림과 동시에 다음에 이겨낼 수 있도록 기억세포를 만들어 내는..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정상체온에서 벗어났을 때 우리는 발열이 일어난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copipaper.tistory.com오늘은 이전 감기 V편 다음으로 어른들보다 아이들이 자주 아픈 이유에 대해서 나눠보려고 합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질병에 잘 걸리고 통계적으로도 나와있는 부분입니다. 1. 아이는 어른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WHO에서 어른과 아이의 다른 차이를 발표한 것에 따르면 제목이 '소아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이 말은 즉슨 소아는 어른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성장단계에 따른 변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부모의 몸을 기준으로 소아를 평가한다면 굉장히..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발열편

우리는 발열(Fever)을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흔히들 발열(Fever)은 90% 이상이 질병 그 자체로 오인하는 경우가 대다수 일 것입니다. 특히,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의 경우 38도만 넘어가면 고열로 생각하여 응급실에 데리고 가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 연구 자료들은 발열의 이로운 효과에 대한 상당한 근거에도 불구하고, 부모들은 열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여 39도 이하의 열에도 불안해하고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적극적으로 열을 낮추려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의료인들은 발열에 대한 부모들의 두려움을 낮춰줄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부모들의 발열 공포 수준이 별 변화가 없고 의료인들의 발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일관성 없는 정보 및 부적절한 발열관리 행..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독감 IV편

우리를 놀라게 할 것은 똑같은 바이러스에 노출된다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여러 연구에서 명확하게 보여줬음에도 불구하고 독감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다는 확고부동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10% 혹은 그 이하만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 10%의 경우 몸은 축적된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그 바이러스를 이용합니다. 나머지 사람들의 경우, 몸은 그런 용매의 도움 없이 똑같은 일을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지만 그들의 몸이 축적된 독소를 제거하는 데 가장 적합한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기 때문에 여전히 계절성 독감에 걸리고 있습니다. 이 것은 또한 계절성 독감 바이러스가 철이 바뀔 때마다 돌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