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V편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정상 체온의 범위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 정상체온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정상체온에서 벗어났을 때 우리
copipaper.tistory.com
이전 편에 이어 오늘은
아이들의 면역력:항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합니다.
1. 경험이 적은 아이들
면역 경험과 환경(날씨)변화를 나눠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면역 경험에 대해 시작해볼께요~

@면역경험 (질병의 경험)
: 우리 몸에서 한번 병을 일으킨 바이러스들이
다시 병을 일으키려할 때 몸에 기억되어 있는
세포들이 동일한 항체를 만들어 쉽게 이겨내게 됩니다.
즉, 질병에 걸림과 동시에 다음에 이겨낼 수 있도록
기억세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니 질병이 꼭 손해보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ㄴ질병에 대응하는 자세
: 아이들은 질병에 대한 경험이 적기 때문에
우리 몸에서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작은지 큰지
구분을 하지 못하여 작은 병원체만 들어와도
으쌰으쌰 열심히 막아내느라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아이들은 아플 때 불편함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불안감을 동시에 느끼는데 그런 경우에는
보호자를 곁에 묶어두기위해 더 과하게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ㄴ 건강해지는 방법
아이들이 자연과 함께 노는 것이 좋습니다.
흙 속에는 병을 일으키기에는 충분하지는 않고
우리 몸에 면역을 활성화 시켜서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키는 수많은 미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아이들은 몸에 예방접종을 맞은 것처럼
면역이 좋아지게 됩니다.
WHO(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어린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많게는 8배 적게는 2배 정도의
흙과 먼지를 먹는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땅에 떨어진 것도 먹고
신발을 만지고 입에 손을 넣기도 하고
모래구덩이에서 앉아서 뿌리기도하고
이런 통계가 나온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어른들의 기준에는
조금만 묻어도 더럽게 느껴
아이들을 깨끗하게만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있는데, 이것은
어떻게 보면 아이들의 몸에서
면역력을 키우는데 기회를 없애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지요.
ㄴ위생가설이란?
위생가설이란 어릴 때 지져분하게 생활하면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확률이 떨어진다 인데요
이게 처음에는 가설이였으나 지금은
거의 정설에 가깝습니다.
형제가 많은 아이들이 건강하고
시골에 사는 이들이 도시에 사는
아이들보다 건강하고
어릴 때 부터 동물을 접한 아이들이
몸에 저항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면역경험에 대해서는 여기까지 입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셨나요?
다음 시간에는 환경(날씨)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아파서 병원을 갔을 때 의학적 지식을
나눠주는 의사가 과연 몇이나 될까요?
기본적인 지식은 인지하고 치료를 받았을 때
몇 배의 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상입니다.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아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거짓말편 (7) | 2023.03.19 |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II편 (9) | 2023.03.18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어른과 아이 I편 (17) | 2023.03.16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물' 'water'편 (4)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