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파의 일상/#미디어일상

2023년 정월대보름 무엇일까? / 보름날짜 / 놀이 / 행사 /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파카페 2023. 2. 3. 11:00
728x90
반응형

설날이 엊그제 같은데 다가오는 주일이면 벌써 2023년 정월대보름이 찾아오네요. 설날에 세뱃돈 받는 것도 좋지만, 조금 어른스럽고 부럼깨 먹는 재미가 있는 정월대보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 날짜

2023년 정월대보름의 날짜는 다가오는 주일인 2월 5일 일요일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날짜가 정해져 있어서 매년 조금씩 바뀌는데, 음력으로 1월 15일입니다. 올해 정월대보름은 작년보다 빠르네요.

 

 

 

#정월대보름은 무엇일까?

정월대보름은 음력 정월 보름을 뜻하는데, 음력으로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보고, 여신, 땅으로 표상되고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지녔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풍요로움을 상징하기 때문에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고 합니다. 기록되기로는 삼국시대 농경사회였던 시기였기에 풍요와 안정등을 기원하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지금까지도 각 지방마다 정월대보름을 지내게 되는데, 전남 완도 장보고당제, 전남 해남의 도둑잡이굿, 전남보성 벌교갯제, 전북고창 오거리당산제, 전북김제 마현당제, 경북안동 도산부인당제, 경북안동 마령동별신제, 강원도삼천 먹던남근제 등이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에는 뭘 해야 할까?

 

1. 놀이

 

· 연날리기

정월대보름 당일이 되면 겨울에 띄우던 연을 날려 보내고, 이후에 연을 날리면 백정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출처 : 매일뉴스

· 쥐불놀이

정월대보름 전날 해가 저물면 들이나 밭둑 또는 논둑에 있는 마른풀을 모아 불을 놓고 태우는 전통놀이입니다. 마른풀을 태움으로써 해충의 알이나 쥐를 박멸하여 풍작을 이루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쥐불놀이 중에 양철통에 넣고 돌리는 놀이는 6.25 이후에 생겨난 놀이라고 합니다.

 

 

출처: 뉴시스

· 널뛰기

정월대보름에 여자들이 널뛰기를 밤에 했다고 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 횃불싸움

정월대보름 저녁에 횃불을 가지고 노는 민속놀이인데 이는 전국적으로 행해졌으며, 당일 아침부터 짚으로 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 석전

정월대보름에 개천이나 가로등을 경계로 하고 돌을 던져 승부를 가리는 전통놀이입니다.

 

이외에도 사자춤, 줄타기, 고싸움을 즐겨했다고 합니다.

 

 

 

 

2. 행사

 

· 보름 새기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여 누군가 자게 되면 가족 중 누군가 장난 삼아 밀가루를 발라 하얗게 만들어 놓기도 합니다.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 더위 팔기

아침에 사람을 만나면 서둘러 상대방에게 '내 열을 사세요'라고 말하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피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 했던 행사 같습니다.

 

 

 

· 달맞이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산 위에 올라가 달을 맞으며 새해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빌었다고 합니다.

 

 

출처: 연합뉴스

· 달집 태우기

커다랗게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 태우면서 풍년을 빌었다고 합니다.

 

 

· 지신밟기

영남지방의 문화인데 농민들이 행렬을 이루고 집을 차례로 찾아가 풍년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3. 음식

 

· 부럼

부럼은 정월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에 미리 과실을 준비해 놓고, 땅속에 묻은 밤을 꺼내어 당일날 여러 번 깨물지 않고 한 번에 깨물어 알맹이를 먹는 풍습입니다. 이때 깨물면서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 나지 말라고 기원하였다고 합니다. (밤, 잣, 호두 등 단단한 견과류)

 

 

출처: 이미지투데이

· 오곡밥

쌀, 보리, 수수, 팥, 조 등을 넣어 밥을 지어먹습니다. 이는 그해의 곡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했다고 하는데, 특히 대보름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서로 나눠먹었다고 합니다.

 

 

· 약밥

신라 제21대 소지왕이 천천정에 거동하였을 때 까마귀를 따라간 곳에서 나타난 노인이 준 봉서 안에 적힌 사금갑 때문에 목숨을 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이날을 기념하여 오기일이라 하고, 그 은혜를 보답하기 위해 찰밥을 만들어 까마귀에게 제사 지낸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 복쌈

김이나 취에 밥을 쌓아 복을 싸서 먹는다는 뜻을 품고 있는 풍습입니다.

 

 

· 귀밝이술

이 술을 마심으로 귀가 밝아진다 하여 귀밝이술이라고 붙여졌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특별한 술은 아니고 대게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셨다고 합니다.

 

 

오늘은 2023년 정월대보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올 한 해도 행복하고 즐겁게 살아보아요.

이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