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카페파파 하우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14

#황칠나무 (Korean dendropanax)

황칠나무는 1910년에 기재되어 두릅나무과에 속해있는 사철내내 잎이 푸른 큰키나무입니다. 한국의 남부 해변과 섬의 산록 수림속에 살며, 높이는 13-15m까지 자랍니다. 또한 각종 질병예방에 탁월하여 술독을 풀어주고 간기능보호, 당뇨, 혈압에 도움이 됩니다. #생물학적 분류 계: 식물계 목: 미나리목 과: 두릅나무과 아과: 두릅나무아과 속: 황칠나무속 종: 황칠나무 #특징 황칠나무는 상처가 나면 황색액이 나오는데 이 수액은 가구를 칠할 때 사용되며, 관상용으로 키웁니다. 그리고 뿌리와 가지를 풍하리 또는 풍하이라 부르며 약으로도 쓰입니다. (2007년도에 특허)

#시아미즈 알지이터 (Crossocheilus oblongus)

시아미즈 알지이터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은 우기에 강이나 시내가 범람한 밀림지역입니다. 그리고 크기는 16cm까지 자라는 어종입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아이들은 3-4cm정도 크기가 대중적입니다. 먹이는 원래는 초식성이지만 곤충이나 동물성 먹이도 먹어 잡식성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붓이끼 #사슴뿔이끼 제거하면 떠오르는 시아미즈인데 거의 유일한 생물병기이기에 수조운영시에 꼭 필요한 열대어라고 생각합니다. (대형어 수조에는....XD) 그런데 시아미즈는 오해를 많이 받고 있는 열대어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비슷하게 생긴 요 두녀석 때문인데요.. 이녀석들은 어렸을 때는 이끼를 잘 먹는 척하다가 성어가 되면 이끼는 개뿔... 사료주기만을 기다리는 멍멍이가 되버립니다. 그래서 주의해야하는..

#인디언복어 (Dwarf puffer : 난쟁이복어, Abeni puffer : 피그미복어)

인디언복어는 인도 남서부의 말라바, 팜바 유역에서 서식하고 성체기준으로 2.5 - 3cm의 초소형 민물 복어입니다. 자연에서는 작은 수서곤충이나 소형 갑각류(새우), 달팽이와 같은 연체동물들을 먹이 삼아 생활하며, 최대 수명은 5년입니다. #특징 국내에는 알려진지 오래되진 않았지만, 성장 크기도 가장 작아 외국에서는 피그미복어라는 명칭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복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황녹색의 색깔이 몸전체를 감싸고 있으며, 불규직적인 원형 무늬가 있습니다. 조명의 각도에 따라서 녹색의 색상이 반짝이는 것이 신기한 복어입니다. 또한 수초항에 달팽이가 창궐했을 때 생물병기로도 쓰이나 다른 열대어와 합사의 경우는 비추천 합니다. (다른 열대어들을 쪼거나 괴롭히는데 이빨이 있어 위험하기도 합니다.) #사육방법 비교..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물' 'water'편

물은 지구 표면에 72%를 구성하는 가장 풍부한 자원입니다. 이 말은 참 흔하디 흔하다는 뜻인데, 그런데 이 흔한 자원이 우주에서 가장 이상한 물질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모든 생명체는 물을 기본적인 요소로 살아갑니다. 과연 물이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생명체가 있을까? 현재까지 수분을 기반으로 살아가지 않는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빛, 산소, 온기, 지구의 대기는 살아가는데 필요하지 않은 유기체들이 있습니다. 우주에서도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생명체들도 결국 살아가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수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너무 흔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신비함은 잊고 사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은 정말 기적에 가까운 물질입니다. 지..

#장미베고니아 (Elatior Begonia: 엘라티오르베고니아)

집에서 제일 먼저 애정을 담아 키웠던 핑크색 장미베고니아였어요. (물론 지금은 다른곳으로 입양보냈지만..) 오늘은 장미베고니아에 대해서 나눠볼께요. #학명: Elatior Begonia 엘라티오르베고니아 #생물학적 분류 계 식물계 (Plantae) 문 현화식물군 (Anthophyta) 강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목 제비꽃목 (Violales) 과 베고니아과 (Begonaceae) 속 베고니아속 (Begonia) #개화시기: 6~10월 (가정에서 키울 때 관리 잘해주시면 1년내내 볼 수 있었습니다.) =자료출처: 경기도농업기술원 #서식: 햇볕을 좋아하는데 줄기에 수분이 많아 오후에 내리쬐는 직사광보다는 아침 햇볕을 맞추시는 것이 좋고, 또한 냉에 약해서 온도는 15-26도 정도로 키워주..

우리는 얼마나 알고 먹을까? - '딸기'편

우리가 겨울이 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딸기, 딸기는 꽃받침 부분이 과육으로 자라나는 과일? 채소?입니다. 여기서 비슷한 경우는 무화과입니다. 그런데 제가 과일? 채소?라고 말씀드린 이유는 학문적 관점에 따라 딸기를 과일인지 채소인지 분류를 하는데 대한민국 법적으로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제24조 2항에서는 과일 또는 농업통계조사 규칙 제2조에 과채류... 즉 채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각 나라마다 과일인지 채소인지 이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나무에서 자라는 열매를 과일로 취급하기 때문에 딸기는 열매로 보지 않는 것이고, 수박, 참외, 토마토등과 더불어 채소로 보는 것입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다 똑같은 과일인데말이죠. 그렇지만 우리나라나 일본, 미국과는 다르게 유럽권에서는 맛과..

#구피 (Poecilia reticulata)

'물생활의 시작은 구피로 시작해서 구피로 끝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금붕어를 대체하는 가정 내 수조의 주인공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지만 특히 주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징: 구피는 한세대가 길지 않고 적은 노력만으로도 나만의 구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특히 수조가 작고 좁은 수조에서도 잘 살고 번식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적습니다. 구피는 고정구피와 막구피로 나뉩니다. 고정 구피는 형질이 고정된 구피를 뜻하는데 본인이 원하는 구피들을 골라 근친교배를 계속하여 부모가 가진 형질을 자손에게 그대로 유전되도록 고정시킨 종류입니다. 막구피는 개로 비유하자면 똥개에 비유하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여러 세대에 걸쳐 교잡이 일어났기 때문에 부모의 형질이 치어에게 그대로 전달되..

2023년 정월대보름 무엇일까? / 보름날짜 / 놀이 / 행사 /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설날이 엊그제 같은데 다가오는 주일이면 벌써 2023년 정월대보름이 찾아오네요. 설날에 세뱃돈 받는 것도 좋지만, 조금 어른스럽고 부럼깨 먹는 재미가 있는 정월대보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 날짜 2023년 정월대보름의 날짜는 다가오는 주일인 2월 5일 일요일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날짜가 정해져 있어서 매년 조금씩 바뀌는데, 음력으로 1월 15일입니다. 올해 정월대보름은 작년보다 빠르네요. #정월대보름은 무엇일까? 정월대보름은 음력 정월 보름을 뜻하는데, 음력으로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보고, 여신, 땅으로 표상되고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지녔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풍요로움을 상징하기 때문에 중요한..

우리는 얼마나 알고 먹을까? - '키위'편

우리는 키위라는 과일을 익숙하게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키위는 뉴질랜드산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의외로 중국인데요. 20세기 초에 중국 외의 나라에도 전파되어 재배되기 시작했고, 영어이름으로 차이니즈 구즈베리였습니다. 하지만 6.25 전쟁에 참전한 중공군 때문에 미국 내에서 적국이 된 중국에 이미지가 나빠지면서 차이니즈 구즈베리를 찾지 않게 되었고, 뉴질랜드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던 업체에서 중국의 이름을 빼고 작은 멜론이란 뜻으로 멜로네트라는 이름을 붙여 수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름에 멜론이 들어가서인지 멜론으로 취급하여 관세가 더 붙기 시작하였고, 뉴질랜드에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뉴질랜드의 국조는 키위새인데 이와 비슷하다 하여 앞에 이름을 가져와 키위라는 새로운 이름을 짓게 되었습니다. ..

# 베타 (Betta)

베타라는 이름은 말레이시아 언어로 'ikan betah'에서 유래된 것으로 'betah' 참다, 견디다라는 의미와 'ikan' 물고기라는 의미가 합쳐져서 '잘 견디는 물고기' 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대표적인세 60여종이 대중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번식방법에 따라 거품둥지를 짓는 버블네스트종과 입에 알을 물고 보호하는 마우스 브리더 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 유통되는 베타는 대부분 개량종이며 베타의 개량은 태국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이유는 투기용으로 싸움을 붙인 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 베타의 또 다른 이름은 투어가 있는데 수컷 베타는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개체를 위협합니다. 몸길이는 5cm내외이며, 물생활을 막 시작하신 분들이 아름다운 지느러미에 유혹되어 많이..

우리는 얼마나 알고 먹을까? - '배'편

오늘은 '귤'편에 이어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과일 중 하나인 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얼마나 알고 먹을까? - '귤'편 오늘은 '사과'편에 이어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과일 중 하나인 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좋은 귤을 고르는 방법까지 알아보려고 하니 마지막까지 쭉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귤이 copipaper.tistory.com #배의 역사 지금 현재 우리가 마트나 백화점에서 사 먹는 배는 일본이 원산이고 야생종인 돌배나무의 개량종입니다. 우리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일본에서 개량된 배가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 고유의 배가 없었던 건 아닙니다. 삼한시대부터 기록이 남아있고 조선시대 허균이 지은 도문대작을 보면 대숙리, 홍리, 현리, 금색리..

#카디날테트라 (Paracheirodon axelrodi)

카디날테트라 or 카디널테르라는 카라신과로 남미의 오리노코 강과 네그로 강 상류에서 서식합니다. 인기있는 것에 비해 양식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서 현재는 야생에서 많은 양을 채집하여 유통합니다. #특징 카디날 테트라의 특징으로는 붉은 색의 배쪽 부분과 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무지개빛깔의 파란색 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란색선은 피하층 세포가 빛의 굴절에 반응하여 빛의 각도에 따라 화려함을 더 합니다. #먹이 주로 육식을 하고 있으나 수중식물, 뿌리 및 잎등 옆쪽에 사는 모기 유충이나 물벼룩과 같은 작은 갑각류등을 잡아먹고 삽니다. (벌레의 애벌레, 곤충의 알등등) #번식 야생에서는 서식지 상류층까지 헤엄쳐 올라가 열대 우림 나무에 의해 음영이 생겨 햇빛이 거의 닿지 않을 때 산란을 한다고 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