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기 의 정의는?
우리는 살면서 가장 많이 겪는 감기는 통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이고 포괄적인 표현이 감기인 것이다.
고로 감기에 걸린 환자도 의사도 정확한 정의를
내리긴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감기의 정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산소를 들이마시고 뱉어내는
목보다 위인 #상기도 에서 발생되는
#콧물 #기침 #열 증상을 감기로 인지하고
많은 사람들이 병원을 찾아갑니다.

#감기 란 무엇인가?
호흡을 통해서 산소만 들어오면 좋겠지만
그 외에도 먼지, 바이러스, 미생물등이 들어오는 것이다.
이때 코와 목에 온도와 습도가 맞춰지면
집을 짓고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우리 몸은 신기하게도 이런 바이러스의
번식을 막기위해 면역활동을 시작합니다.
*습도가 낮아 건조할 경우
콧물은 코의 습도를 높이고 배출함으로써
바이러스와 이물질을 밀어냅니다.
*온도가 낮아 차가울 경우
코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산소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코의 온도를 높이고
찬바람의 영향을 줄입니다.
사람의 몸이 여름철 에어컨을 맞아 몸이 찰 때
겨울철 찬바람을 맞을 때 코가 막히거나
콧물이 흐르는 것은 감기의 걸리지 않기 위해
몸에서 일으키는 방어수단입니다.

#감기약 을 먹으면 왜 바로 낫지않을까?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워낙 다양하여.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완화시켜주는 효과는 있으나,
시판되고 있는 모든 감기약들은 대증요법에 방점을
두고 있을 뿐 감기의 원인 및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대증요법: 질병을 치료하지 않거나, 치료를 포기한 후
발현하는 증상만을 다스리는 방법을 말합니다.
즉,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아파서 병원을 갔을 때 의학적 지식을
나눠주는 의사가 과연 몇이나 될까요?
기본적인 지식은 인지하고 치료를 받았을 때
몇배의 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상입니다.
(참고 문헌 - 면역학, 바이러스학,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Guyton and hal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Nelson Textbook Pediatrics,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I편 (7) | 2023.03.22 |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편 (10) | 2023.03.21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발열편 (12) | 2023.03.15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독감 IV편 (6) | 2023.03.12 |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독감 III편 (15)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