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백신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예방접종 I편

파파카페 2023. 2. 16. 23:0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예방접종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우리는 엄마의 뱃속에서
나오자 맞는 예방접종들
과연 이 백신들이 우리몸에서
어떤 반응을 일으킬까요?


저는 어려서부터 예방접종에 맞아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 당시 체육관 관장님께서
운동으로 체력을 키우고 골구로 먹고 잘자면
감염성 질병은 자연적인 방법만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기를 수 있다고 믿으셨습니다.

또한 어머니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셨습니다.

그로인해 가끔 감기에 걸린 것을
제외하면 감염성 질병으로 고생한 적이
전혀 없습니다.


이제 성장하고 아이들을 키우다보니
과연 감염성 질병을 막기 위한 예방접종이
옳은 것인가? 라는 생각으로 시작한게
감기 - 독감 - 어른과아이 - 링거를
순서로 조사하고 서적을 찾아보며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찾아보니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이
과학의 심각한 결함 및 거짓 혹은 속임수라는
마음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백신이 항체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우리를 보호한다는 이론에
아무런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거짓말 같은 현실


1. 백신이 질병을 예방한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에게 백신이 예방하고자
했던 질병에 대해 어떻게 스스로 원인이 되고
퍼져나가게 하는지에 대한 온갖 예를 보여줍니다.

특히 백신에 관한 기록에는 감염성 질병에 대한
백신을 접종받은 개인과 집단에게 일어난
감염된 예들로 가득합니다.

우리는 빠른 해결책을 선호합니다.


이를 통해 백신 의학은 교묘하게 번창을 했고,
백신 의학의 기본적인 접근법은 질병을 앓기전에
감염성 질환에 대해 영구적인 면역력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2. 백신이 질병을 근절시킨다?

감염성 질병은 집단 예방접종을 실시하기
몇달 혹은 몇년전부터 감소하는 추세였습니다.
위생 시설, 개인위생과 영양상태의 개선은
사람들을 건강하게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감염과
질병에 대한 내성을 키워주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근절된 것으로 알려졌던
백일해, 홍역등의 감염성 질병은
집단 예방 접종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맹렬하게 번지기도 합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맹렬하게 퍼진 'COVID-19'
박쥐로 시작되어 인간에게 퍼져나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박쥐에게는
주요 ACE2 단백질 수용체가 있는데,
ACE2는 코로나 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바이러스-2 (SARS- 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에 감염될 때
인식해 결합하는 단백질 입니다.

고성능 컴퓨터로 인간과 박쥐의 ACE2와
결합하는 능력이 인간세포를 결합하는
능력보다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고,
이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연구원들과 많은 의료인들은
미스터리에 빠뜨리기도 했습니다.

다른 이야기들과 비슷한 점들이 보이시나요?
'예방접종'편을 보시다보면
말씀안드려도 이해가 되실 것이라 믿습니다.
저 또한 그러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작성하겠습니다.
다음 II편 기대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