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식품

우리는 얼마나 알고 먹을까? - '키위'편

파파카페 2023. 2. 2. 08:30
728x90
반응형

우리는 키위라는 과일을 익숙하게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키위는 뉴질랜드산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의외로 중국인데요. 20세기 초에 중국 외의 나라에도 전파되어 재배되기 시작했고, 영어이름으로 차이니즈 구즈베리였습니다. 하지만 6.25 전쟁에 참전한 중공군 때문에 미국 내에서 적국이 된 중국에 이미지가 나빠지면서 차이니즈 구즈베리를 찾지 않게 되었고, 뉴질랜드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던 업체에서 중국의 이름을 빼고 작은 멜론이란 뜻으로 멜로네트라는 이름을 붙여 수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름에 멜론이 들어가서인지 멜론으로 취급하여 관세가 더 붙기 시작하였고, 뉴질랜드에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뉴질랜드의 국조는 키위새인데 이와 비슷하다 하여 앞에 이름을 가져와 키위라는 새로운 이름을 짓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970년대 도입되어 역사는 53년으로 짧은 과일 중 하나입니다. 

 

 

#키위의 품종

대부분 알고 계시는 키위는 골드키위, 그린키위 정도 알고 계실텐데, 국내에서는 최근 2021년부터 수확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출하되고 있으니 마트나 백화점에서는 이미 판매되고 있으나 잘 모르셨던 분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변신을 꾀하고 있는 국산 키위품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1. 녹가

2005년도에 사과모양의 골드 유전자원 '괴밀'을 모본으로 이용하고, 부본으로 야생다래 유전자원의 꽃가루로 교배한 품종입니다. 2016년부터 육성되고 있고, 껍질 째 먹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무게는 44g, 당도는 15.7 Brix입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2. 그린몰

2008년도 Hort16A를 모본으로 야생다래 유전자원의 꽃가루를 교배한 품종입니다. 2017년부터 육성되고 있고, 껍질 째 먹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무게는 33g, 당도는 16.9 Brix입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3. 레드비타

2003년 홍심을 모본으로 NHK0013의 꽃가루를 교배하여 육성된 품종입니다. 열매를 절단했을 때 주변에 빨간색이 선명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다른 품종이 100g 기준으로 30- 80mg라면 레드비타는 비타민C가 140mg 정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무게는 80 - 120g이며 당도는 14 - 18 Brix입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4. 감황

2003년 NHK0047과 부본 NHK0013을 교배하여 2009년에 과일이 크고 당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2013-2015년에 최종선발하여 감황으로 명명하였습니다. 무게는 159g 이상으로 거대한 것이 특징이며 당도는 16 Brix입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5. 골드원

2003년 NHK0047과 NHK0013을 교배하여 2011년도에 최종 선발되었습니다. 무게는 120-160g, 당도는 13-17 Brix가 나온다고 하며 기존 골드키위품종보다 대과종에 속합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6. 스위트골드

2000년 퍼스터엠퍼러와 옥천을 교배하여 2010년 최종선발된 품종입니다. 무게는 80 - 110g, 당도는 16 - 20 Brix인 고당도 품종입니다. 현재는 제주에서만 재배되고 있고, 한라스위트 상표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출처 : 국립종자원

7. 제시골드

1997년 제주농업시험장에서  'Golden yellow'와 'Songongu'를 교배하여 2002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선정된 품종입니다. 무게는 118g, 당도는 14.8 Brix입니다. 

 

 

 

#키위의 효능은 어떻게 될까?

각 과일마다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효눙이 각기 다른데, 키위 또한 그 효능이 다양한데 작은 열매치고는 참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1. 키위는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참 의외인데 키위는 비타민 C 함유량이 오렌지나 레몬보다 많이 들어있습니다. 키위 한개에 하루 권장 비타민 C 섭취량의 240% 함유하고 있습니다.

 

2. 키위는 항산화제다.

키위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항산화 성분은 우리 몸에 활성 산소를 없애고, 조기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세포 재생을 촉진해 피부를 더 탱탱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3. 키위는 장운동을 돕는다.

키위는 섬유질과 엔자임성분이 풍부하여 장운동을 돕습니다. 그래서 변비나 복부팽만감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좋습니다.

 

4. 키위는 몸매유지에 좋다.

키위는 칼로리가 100g당 69cal로 무척 낮습니다. 낮은 칼로리에 비해 포만감이 생겨 폭식 예방에도 좋습니다.

 

5. 키위는 임산부에게 좋다.

키위는 엽산이 풍부하여 임신 중 배아세포를 발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6. 키위는 운동하는 사람에게 좋다.

대게 운동하는 사람들은 바나나를 생각하지 키위를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키위는 칼륨, 비타민E, 루테인,식이섬유를 충분히 제공하면서 나트륨 섭취를 낮추기 때문에 좋습니다. 또한 근육 경련이 생길 위험도 낮추고 회복력을 향상 시킵니다.

 

7. 키위는 심장 질환을 예방한다.

키위는 글리세믹 지수가 낮아서 지방 연소를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혈관과 동맥을 더 튼튼하게 해주니 심장질환을 예방해주게 되는 것 입니다.

 

 

 

#참다래는 무엇일까?

참다래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에서 붙인 이름인데, 키위 자체가 197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어 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키위가 1991년 농산물 수입 자유화 대상에 포함되어 국내 생산에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키위를 한국이름으로 정정하자 해서 1997년 참다래로 변경되었고, '참다래유통사업단'을 조직했습니다. 

 

 

 

#다래는 무엇일까?

다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전국에 분포해 있는 식물입니다. 이외에 이름은 개다래, 쥐다래, 섬다래가 있으며, 과일이 달아 달애 > 다래로 변형된 것입니다. 이 다래는 키위보다 작고 털이 없어 먹기 편하여 털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이 드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려가요 청산별곡에도 나온답니다.

 

 

키위는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이 서너 개라 어떤 게 진짜인지 모르겠네요. 일단 맛있게 먹을 수 있다면 그게 문제인가요~ 오늘도 여러 가지 알게 되었으니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기회에 다래도 한번 먹어봐야겠어요. 여기까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