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감기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V편

파파카페 2023. 3. 23. 11:00
728x90
반응형

이제 환절기가 시작했습니다.

흔히 말하는 감기의 계절이
찾아왔다고 말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열이 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처법에 대해서 나누고자 합니다.
 


1. 감기에 걸리면 우리 몸에는 어떠한
반응이 일어날까?
: 바이러스가 낮은 온도와 건조함으로
증식을 시작하게 되면 우리 몸은 그에 대한
반응을 시작하게 됩니다.

첫 번째로는 #기침과 콧물로 밀어내려고
노력을 합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바이러스가
계속 증식하면 두 번째로 사용하는 방법은
호흡기에 체온을 올려 증식을 억제하게 됩니다.

호흡기의 체온이 올라갔다는 것은
호흡기 혈관이 확장되고
면역세포의 이동이 활발해진다는 것입니다.
 

 
단, 단점은 체온을 올리기 위해
몸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치고 힘든 상태가 됩니다.

이때 우리의 체온은 39-41.5도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단, 우리의 몸은 자동차 엔진과 같이
가열되는 만큼 오르는 것이 아니라
일정 체온까지 올라간 뒤 더는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이 온도에서는 바이러스가 죽진 않고,
증식 속도를 억제하기 시작합니다.
억제가 되고 그와 동시에 바이러스들을
제거하기 위해 우리 몸은 바이러스를 잡아
유전자 조합을 하여 그에 맞는
항체를 만들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아프게 되면 3-5일 정도인데
이 시간은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이전에 우리 몸속으로 들어와서 증식을 했던
바이러스들은 이전에 만들었던
항체를 바로 만들어 제거하게 되지만
새로운 바이러스가 들어오거나
변이 또는 코에 거주하고 있다가 몸에
불편을 주지 않았던 바이러스인 것입니다.
 

 
이 많은 과정이 끝나게 되면
우리 몸에서는 흔적이 남게 됩니다.
백혈구가 바이러스와 싸우다 죽은 시체
바이러스가 백혈구에게 죽은 시체
모든 전쟁에는 흔적이 남듯이
백혈구와 바이러스의 싸움에도
흔적이 남게 됩니다.

이때 남는 흔적은 노란 콧물과 가래인데,
우리는 대부분 아프고 난 뒤 식도로 침을
'꿀. 꺽'하고 불편하게 넘기게 되고,
또 다른 방법은 기침이나 재채기로
코와 목에 걸린 잔해를 밖으로 밀어내기도
합니다.

이렇게 일주일 정도는 우리 몸에서
일으키는 감기의 한 사이클입니다.
재채기→ 맑은 콧물→ 발열→ 노란 콧물→ 기침
 

 
2. 그렇다면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될까?
위에 글을 보셨다면 이런 생각이 드실 수도 있을 겁니다.
몸에서 일어나는 반응들을 억제하려 한다면
과연 우리 몸은 어떠한 반응을 일으킬까요?
그렇죠 감기의 한 사이클을 돌아야 치료가 마무리되니
우리 몸에서는 그 증상에 맞게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때 과부하가 걸리거나 증식하려던
바이러스는 호흡기를 통해 더 깊이 폐까지 침투하게 되고,
더 큰 질병으로 갈 수도 있다는 것은 알고 계셔야 합니다.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II편

https://copipaper.tistory.com/20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감기 I편 #감기 의 정의는? 우리는 살면서 가장 많이 겪는 감기는 통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이고 포괄적인 표현이 감기인 것이다. 고로 감기

copipaper.tistory.com

 
해당 편을 보시면 외국의 사례를 볼 수 있는데
이번 편에서 다루었던 이야기에 대해
더 도움이 되셨을 겁니다.


자료를 한두 개씩 조사할 때마다 느끼지만
우리는 감기에 대해서 잘못 알고
잘못된 치료방법을 택하고
살아가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아파서 병원을 갔을 때 의학적 지식을
나눠주는 의사가 과연 몇이나 될까요?


기본적인 지식은 인지하고 치료를 받았을 때
몇 배의 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상입니다.




(참고 문헌 - 면역학, 바이러스학,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Guyton and hal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Nelson Textbook Pediatrics,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반응형